해평윤씨 시조 조상 파 족보 돌림자 한자 항렬 인물

2025년 05월 18일 by 오르야

    해평윤씨 시조 조상 파 족보 돌림자 한자 항렬 인물 목차
반응형

해평윤씨 시조 조상 파 족보 돌림자 한자 항렬 인물
해평윤씨 시조 조상 파 족보 돌림자 한자 항렬 인물

대한민국에는 수많은 성씨가 존재하며, 각 성씨는 고유한 역사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고려 시대부터 명문가로 이름을 떨쳐온 해평 윤씨(海平 尹氏)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혹시 주변에 해평 윤씨 성을 가진 분이 계시거나, 자신의 뿌리가 해평 윤씨인지 궁금하셨던 분들이라면 이번 포스팅이 더욱 흥미롭게 다가올 것입니다.

해평 윤씨의 시조는 누구이며, 어떤 역사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을까요? 또, 해평 윤씨 가문에는 어떤 유명한 인물들이 있으며, 후손들은 어떤 돌림자(항렬자)를 사용할까요? 지금부터 해평 윤씨의 깊고 넓은 세계로 함께 떠나보겠습니다!

▶ 해평 윤씨 족보 돌림자 조회하기 ◀

1. 해평 윤씨의 시작: 시조 윤군정(尹君正)과 본관 해평(海平)

모든 가문의 이야기는 시조로부터 시작됩니다. 해평 윤씨의 시조는 고려 고종과 원종 때 활약한 윤군정(尹君正)입니다. 윤군정 할아버지는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公)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판공부사(判工部事)라는 높은 벼슬을 지내신 분입니다. 특히 1257년(고종 44년)에는 원주에서 일어난 안열 등의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한 공로로 우복야(右僕射)에 오르기도 하셨습니다. 비록 시조의 분묘는 안타깝게도 실전되어 찾을 수 없지만, 1998년 5월 원적지인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금산리 소계산서록계좌에 그분의 공적을 기리는 이단수비가 세워졌습니다.

반응형

해평 윤씨의 본관인 해평(海平)은 현재의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입니다. 신라 시대에는 병정현(竝井縣)이라 불렸으나, 고려 태조 때 해평군(海平郡)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이후 시조 윤군정의 손자인 윤석(尹碩) 할아버지가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지면서, 그의 후손들이 해평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 해평 윤씨 항렬표 조회하기 ◀

2. 가문의 번영을 이끈 주요 조상과 역사

해평 윤씨가 명문가로 발돋움하는 데에는 훌륭한 조상들의 역할이 컸습니다. 그중에서도 몇 분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윤석(尹碩): 앞서 언급된 시조 윤군정의 손자로, 해평 윤씨 발전의 중요한 기틀을 마련한 분입니다. 고려 충숙왕 시절, 대언(代言)의 자격으로 원나라에 파견되어 원나라가 고려에 행성(行省)을 설치하려는 계획을 중지시키는 뛰어난 외교적 공을 세웠습니다. 이 공로로 충근절의동덕찬화보정공신(忠勤節義同德贊化保定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벼슬은 벽상삼중대광(壁上三重大匡) 도첨의사(都僉議司) 좌정승(左政丞) 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이르렀고, 마침내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습니다. 이로써 해평 윤씨는 더욱 굳건한 기반을 다지게 됩니다.
  • 윤지현(尹之賢): 윤석 할아버지의 맏아들입니다. 광정대부 정당문학 진현관대제학 지춘추관사 상호군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시호는 문영(文英)입니다. 그의 후손들은 해평 윤씨의 주요 분파 중 하나인 문영공파(文英公派)를 이루었습니다.
  • 윤지표(尹之彪) (1310년 ~ 1382년): 윤석 할아버지의 둘째 아들입니다. 단성익위공신에 책록되었고, 중대광문하평리 벼슬을 지냈으며 해평군에 봉해졌습니다. 시호는 충간(忠簡)이며, 당대의 대학자였던 목은 이색이 직접 지은 묘지명이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그의 후손들은 해평 윤씨의 또 다른 주요 분파인 충간공파(忠簡公派)를 형성하였습니다.

이처럼 해평 윤씨는 고려 시대부터 충효와 학문으로 가문을 빛낸 조상들 덕분에 명문가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습니다.

3. 해평 윤씨의 큰 줄기: 문영공파(文英公派)와 충간공파(忠簡公派)

해평 윤씨는 시조로부터 4세에 이르러 크게 두 갈래로 나뉩니다. 바로 윤지현 할아버지를 파조로 하는 문영공파(文英公派)와 윤지표 할아버지를 파조로 하는 충간공파(忠簡公派)입니다. 이 두 파를 중심으로 해평 윤씨는 더욱 다양한 가지를 뻗어 나가게 됩니다.

  • 문영공파(文英公派): 윤지현(尹之賢)의 후손들로 이루어진 문영공파는 8세에 이르러 다시 4개의 분파로 나뉩니다.
    • 한성윤공파(漢城尹公派)
    • 청주공파(淸州公派)
    • 장령공파(掌令公派) (세부 분파: 서윤공, 군위공, 재용공)
    • 남원공파(南原公派)
  • 충간공파(忠簡公派): 윤지표(尹之彪)의 후손들로 이루어진 충간공파는 13세에 이르러 무려 16개 이상의 분파로 나뉘며 크게 번성했습니다. 대표적인 분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오음공파(梧陰公派): 조선 중기의 명재상 윤두수(尹斗壽)를 파조로 합니다.
    • 월정공파(月汀公派): 윤두수의 동생이자 역시 뛰어난 문신이었던 윤근수(尹根壽)를 파조로 합니다.
    • 치천공파(稚川公派): 조선 중기의 영의정 윤방(尹昉)을 파조로 합니다.
    • 도제공파(都制公派): 윤흔(尹昕)을 파조로 하며,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인 윤보선(尹潽善) 선생이 이 파에 속합니다.
    • 장주공파(長洲公派): 윤휘(尹暉)를 파조로 합니다.
    • 백사공파(白沙公派): 윤훤(尹暄)을 파조로 합니다.
    • 이 외에도 송만공파, 아산공파, 방어공파, 울산공파, 사방부사직공파, 오방부사직공파, 생원공파, 사직공파, 평도공파, 창원공파, 사인공파 등 수많은 분파가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분파는 해평 윤씨 가문이 얼마나 번성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정확한 파를 아는 것은 뿌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4. 이름 속에 담긴 약속: 해평 윤씨 항렬자(行列字) - 돌림자

우리나라 성씨 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항렬자(行列字), 즉 돌림자입니다. 항렬자는 같은 혈족 안에서 세대(世代表)를 나타내기 위해 이름의 특정 위치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이를 통해 처음 만나는 사람이라도 항렬자를 보면 대략적인 세대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해평 윤씨는 대동항렬표를 가지고 있으며, 시조로부터 몇 세손인지를 기준으로 항렬자를 정합니다. 아래는 해평 윤씨의 대동항렬표 중 일부입니다.

세(世) 항렬자 (한자) 세(世) 항렬자 (한자) 세(世) 항렬자 (한자)
19 口동(東) 29 口식(植) 39 口모(模)
20 口렬(烈) 30 병(炳) 40 헌(憲)
21 치(致) 31 口규(圭) 41 배(培)
22 口선(善) 32 용(鏞) 42 종(鍾)
23 口구(求) 33 口준(準) 43 태(泰)
24 口영(榮) 34 수(秀) 44 -
25 口섭(燮) 35 口환(煥) 45 -
26 노(老) 36 기(基/起)    
27 口진(鎭) 37 口호(鎬)    
28 홍(洪) 38 원(源)    
  • 참고: 위 항렬표는 널리 알려진 자료를 종합한 것이나,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口’ 표시는 이름의 앞 또는 뒤에 항렬자가 위치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9세 ‘口동(東)’은 ‘동O’ 또는 ‘O동’으로 이름을 짓는다는 뜻입니다. 가장 정확한 항렬자 정보는 해당 문중의 공식 족보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소파(小派)에 따라 다른 항렬자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5. 역사를 빛낸 해평 윤씨 인물들

해평 윤씨 가문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그리고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인재를 배출하며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고려시대

  • 윤만비(尹萬비): 부지밀직사사를 역임했습니다.
  • 윤진(尹珍): 시호는 문평공이며, 찬성사 벼슬에 올랐습니다.

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특히 많은 정승과 판서, 공신들을 배출하며 명문가의 위상을 떨쳤습니다.

  • 윤은보(尹殷保): 시호는 정성공, 조선 최고의 관직인 영의정을 지냈습니다.
  • 윤은필(尹殷弼): 시호는 헌간공, 학문 기관의 수장인 대사성을 역임했습니다.
  • 윤두수(尹斗壽): 시호는 문정공, 영의정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극복에 큰 공을 세운 명재상입니다. 충간공파 중 오음공파(梧陰公派)의 파조이기도 합니다.
  • 윤근수(尹根壽): 윤두수의 동생으로, 시호는 문정공, 좌찬성을 지냈습니다. 뛰어난 문장가이자 외교가였으며, 월정공파(月汀公派)의 파조입니다.
  • 윤방(尹昉): 시호는 문익공, 영의정을 지냈습니다. 치천공파(稚川公派)의 파조입니다.
  • 윤흔(尹昕): 시호는 정민공, 지중추부사를 지냈으며 도제공파(都制公派)의 파조입니다.
  • 윤휘(尹暉): 시호는 장익공, 형조판서를 역임했으며 장주공파(長洲公派)의 파조입니다.
  • 이 외에도 윤승길(숙간공, 좌참찬), 윤승훈(문숙공, 영의정), 윤돈(효정공, 예조판서), 윤신지(문목공, 정혜옹주 부마), 윤이지(정효공, 판돈령), 윤계(익정공, 형조판서), 윤세기(효헌공, 좌참찬), 윤급(문정공, 이조판서), 윤유(익헌공, 이조판서), 윤시동(문익공, 좌의정), 윤치정(문정공, 이조판서), 윤치희(문헌공, 형조판서, 서화가로도 유명), 윤용선(문충공, 영의정) 등 수많은 인물들이 조정과 학문 분야에서 활약했습니다.

대한제국 및 근현대

격동의 근현대사 속에서도 해평 윤씨 인물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 윤웅렬(尹雄烈): 시호는 충숙공, 대한제국 군부대신을 지냈습니다.
  • 윤영렬(尹英렬): 육군참장을 역임했습니다. 윤웅렬과 윤영렬 형제는 구한말 대표적인 개화파 가문인 윤웅렬-윤영렬 가문을 이루었습니다.
  •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인 순종의 계비이십니다. 윤택영의 딸입니다.
  • 윤치호(尹致昊): 윤웅렬의 아들로, 유명한 개화운동가이자 정치가, 교육자였습니다. 애국가를 작사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 윤덕영(尹德榮):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기록된 인물이며, 이완용 내각의 시종원경을 지냈습니다.
  • 윤택영(尹澤榮): 순정효황후의 아버지로, 역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됩니다.
  • 윤일선(尹日善): 윤치오(윤웅렬의 동생)의 아들로, 대한민국 병리학의 선구자이자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습니다.
  • 윤보선(尹潽善): 윤치소(윤영렬의 아들)의 아들로,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을 지냈습니다.
  • 윤치영(尹致暎): 윤영렬의 아들로, 정치가로서 초대 내무부 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습니다.
  • 윤홍섭(尹弘燮) / 윤기섭(尹琦燮):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활동했습니다.
  • 윤세영(尹世榮): SBS 명예회장으로, 대한민국 방송계에 큰 영향을 미친 언론인이자 기업인입니다.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해평 윤씨는 조선 왕실과도 깊은 인연을 맺었습니다.

  • 정종 후궁 숙의 윤씨
  • 연산군 후궁 숙의 윤씨
  • 헌종 후궁 정빈 윤씨
  • 순종 계비 순정효황후 윤씨
  • 선조의 서자인 인성군의 부인 군부인 해평 윤씨
  • 인조의 서자인 숭선군의 사위 윤세정
  • 순조의 셋째 딸인 덕온공주의 부마 윤의선(尹宜善)
  • 태종의 서녀인 소숙옹주의 부마 윤연명(尹延命)
  • 선조의 서녀인 정혜옹주의 부마 윤신지(尹新之)

이처럼 해평 윤씨는 왕비, 부마 등을 배출하며 왕실의 외척으로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6. 해평 윤씨, 어디에 터를 잡았나? - 집성촌과 인구

해평 윤씨 후손들은 전국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지만, 예로부터 함께 모여 살던 집성촌이 몇 군데 있습니다.

  •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소매리
  •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모남리
  • 충청남도 청양군 적곡면 미당리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
  • 황해도 금천군 고동면 덕산리 (현재 북한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이천리

인구수를 살펴보면, 2000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8,225가구에 26,341명이었으며, 2015년 통계청 자료에서는 32,091명으로 조사되어 꾸준히 가세를 이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7. 유구한 역사와 자부심, 해평 윤씨

지금까지 해평 윤씨의 시조와 본관, 주요 조상과 역사, 분파, 항렬자, 그리고 역사 속 인물들과 집성촌까지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고려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해평 윤씨는 수많은 인재를 배출하며 대한민국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자신의 뿌리를 아는 것은 현재의 나를 이해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됩니다. 만약 해평 윤씨 후손이시라면, 오늘 소개해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가문의 역사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고, 더 깊이 있는 탐구를 시작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오늘 해평 윤씨 이야기가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유익한 정보를 얻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성씨 이야기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참고사항

본 포스팅은 온라인에 공개된 자료(위키백과, 나무위키, 네이버 블로그 "해평 윤씨(海平 尹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등)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부 내용에 오류가 있거나 누락된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항렬자와 같은 민감한 정보는 소파별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가장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해평 윤씨 대종회나 해당 문중의 어른들께 문의하시거나, 공식적으로 발간된 족보를 직접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임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